
서빙로봇 전문 기업 ㈜알지티 RGT(대표 정호정)의 자율주행 서빙로봇 ‘써봇(SIRBOT)’이 2017년 국내 최초 개발을 시작한 이래, 7년간 축적된 실전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2025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지원사업에 최신형 서빙로봇 최저 공급가(월 105,000원, VAT 별도) 조건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써봇은 2017년 0세대 모델 개발을 시작으로, 2018년 국내 최초 상용 서빙로봇을 출시한 이래, 현재까지 7년 이상 국내 다양한 서비스 업장과 복합 운영 환경에 대응하는 자율주행 로봇 기술을 자체 개발해오고 있다. 수입형 로봇이 대세였던 초기 시장에서, 순수 국내 기술로 실증과 개선을 반복한 개발 히스토리 자체가 알지티의 가장 큰 자산이다. 특히 현재까지 총 84건의 지식재산권 및 특허를 출원·등록해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단기간 기술도입이나 조립 방식과는 다른, R&D 중심 기업으로서의 구조적 경쟁력을 입증하는 수치다.
또한 알지티는 써봇이 POS, 키오스크, 주방 모니터, 엘리베이터, 자동문 등 다양한 운영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는 점을 주요 특장점으로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 자체 개발한 테이블오더 시스템과 NFC 기반의 주문·결제 기능까지 결합해, 하나의 통합된 서빙로봇 솔루션으로 완성도를 높였다.
이번 스마트상점 기술보급 사업에서 알지티는 서빙로봇 써봇의 대표 모델인 ‘둥근형’과 ‘네모형’ 두 가지 최신형 제품을 공급한다. 특히 써봇 둥근형 모델은 스마트상점 기술보급 사업의 서빙로봇들 중 공식 공급가 최저(월 105,000원, VAT 별도) 조건으로 도입할 수 있다. 본 사업에 참여하는 서빙로봇 기술 공급기업은 모두 대한민국에서 직접 로봇을 개발한 기업만 참여할 수 있으며, 등록된 제품 중 써봇은 가장 저렴한 공급가격을 기록했다. 알지티 관계자는 “국내에서 직접 기술을 개발하고, 운영 환경에 맞춰 생산과 품질을 꾸준히 관리해온 구조이기 때문에 가능한 공급가다”며 “광고 홍보에 쏟는 비용을 절약하여 실제로 로봇을 필요로 하는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한 상생 모델 기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알지티 관계자는 “한국의 상업 공간은 미국이나 중국과는 구조 자체가 다르다. 고객 응대 방식, 회전 속도, 직원 동선 등이 훨씬 복잡하고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설치 후 몇 년이 지나도 업데이트가 없는 외국산 서빙로봇으로는 대응이 어렵다”며 “써봇이 국내 환경에 맞춰 매년 정기적으로 운영 최적화 중심의 업데이트를 이어오는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서빙로봇을 도입한 이후에도 계속 진화하고, 매장에 맞춰 반응한다는 점은 스마트상점 지원사업을 고민하는 다양한 업종의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신뢰 요인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써봇은 현재 음식점뿐 아니라 복합쇼핑몰, 마트, 스크린골프장, 헬스장, 카페, PC방 등 다양한 업종과 공간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한국을 포함해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홍콩, 말레이시아, 대만, 인도네시아, 베트남, 아랍에미리트, 우즈베키스탄 등 전 세계 12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출처] - 한경비즈니스
[원본링크] - 기사 원문 보기
서빙로봇 전문 기업 ㈜알지티 RGT(대표 정호정)의 자율주행 서빙로봇 ‘써봇(SIRBOT)’이 2017년 국내 최초 개발을 시작한 이래, 7년간 축적된 실전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2025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지원사업에 최신형 서빙로봇 최저 공급가(월 105,000원, VAT 별도) 조건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써봇은 2017년 0세대 모델 개발을 시작으로, 2018년 국내 최초 상용 서빙로봇을 출시한 이래, 현재까지 7년 이상 국내 다양한 서비스 업장과 복합 운영 환경에 대응하는 자율주행 로봇 기술을 자체 개발해오고 있다. 수입형 로봇이 대세였던 초기 시장에서, 순수 국내 기술로 실증과 개선을 반복한 개발 히스토리 자체가 알지티의 가장 큰 자산이다. 특히 현재까지 총 84건의 지식재산권 및 특허를 출원·등록해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단기간 기술도입이나 조립 방식과는 다른, R&D 중심 기업으로서의 구조적 경쟁력을 입증하는 수치다.
또한 알지티는 써봇이 POS, 키오스크, 주방 모니터, 엘리베이터, 자동문 등 다양한 운영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는 점을 주요 특장점으로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 자체 개발한 테이블오더 시스템과 NFC 기반의 주문·결제 기능까지 결합해, 하나의 통합된 서빙로봇 솔루션으로 완성도를 높였다.
이번 스마트상점 기술보급 사업에서 알지티는 서빙로봇 써봇의 대표 모델인 ‘둥근형’과 ‘네모형’ 두 가지 최신형 제품을 공급한다. 특히 써봇 둥근형 모델은 스마트상점 기술보급 사업의 서빙로봇들 중 공식 공급가 최저(월 105,000원, VAT 별도) 조건으로 도입할 수 있다. 본 사업에 참여하는 서빙로봇 기술 공급기업은 모두 대한민국에서 직접 로봇을 개발한 기업만 참여할 수 있으며, 등록된 제품 중 써봇은 가장 저렴한 공급가격을 기록했다. 알지티 관계자는 “국내에서 직접 기술을 개발하고, 운영 환경에 맞춰 생산과 품질을 꾸준히 관리해온 구조이기 때문에 가능한 공급가다”며 “광고 홍보에 쏟는 비용을 절약하여 실제로 로봇을 필요로 하는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한 상생 모델 기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알지티 관계자는 “한국의 상업 공간은 미국이나 중국과는 구조 자체가 다르다. 고객 응대 방식, 회전 속도, 직원 동선 등이 훨씬 복잡하고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설치 후 몇 년이 지나도 업데이트가 없는 외국산 서빙로봇으로는 대응이 어렵다”며 “써봇이 국내 환경에 맞춰 매년 정기적으로 운영 최적화 중심의 업데이트를 이어오는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서빙로봇을 도입한 이후에도 계속 진화하고, 매장에 맞춰 반응한다는 점은 스마트상점 지원사업을 고민하는 다양한 업종의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신뢰 요인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써봇은 현재 음식점뿐 아니라 복합쇼핑몰, 마트, 스크린골프장, 헬스장, 카페, PC방 등 다양한 업종과 공간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한국을 포함해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홍콩, 말레이시아, 대만, 인도네시아, 베트남, 아랍에미리트, 우즈베키스탄 등 전 세계 12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출처] - 한경비즈니스
[원본링크] - 기사 원문 보기